전문가기고

김성배 창업전문가 - 공유주방 창업사례

본문

목차

01. 공유주방으로 창업하면 좋은 이유

02. 공유주방 사례

03. 공유주방이 나아갈 방향

01. 공유주방으로 창업하면 좋은 이유

직장 때려치우고 카페나 할까?라고 많은 직장인들이 희망사항을 이야기한다. 퇴직자들이 주로 치킨집을 한다는 이야기도 있고, 취업이 어려워 자영업으로 음식점을 열었다는 사람들도 많다. 그런데 이런 자발적이거나 비자발적인 음식점 창업이 과연 합리적인 선택일까?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숙박 음식점업의 창업 1년 생존율은 55.6%이고, 5년 생존율은 17.7%이다. 즉 1~2년 안에 음식점 반이 문 닫고, 5년 안에 80%가 넘게 문 닫는다는 이야기이다. 이런 위험한 일을 취업이 어렵다거나, 다니는 직장이 힘들다는 이유로 충분한 준비과정 없이 본인이나 가족의 모든 돈을 모아서 시작하려는 사람들이 많다.

k1.jpg

 

우리나라에서 음식점이나 카페를 시작하려면 창업 비용이 얼마나 들까? 공정거래위원회의 외식 업종별 평균 창업 비용을 보면 치킨집이 5,725만 원, 한식점이 1억 658만 원, 커피점이 1억 1,683만 원, 주점 9,079만 원, 분식점이 6,618만 원으로 정보공개되고 있다. 즉 치킨집이나 분식집을 하려고 해도 최소 5천만 원이 넘게 들어가고, 카페나 일반 음식점을 하려면 1억이 넘게 들어간다는 이야기이다. 그런데 이렇게 많은 돈을 투자해 음식점 창업을 했는데, 5년 안에 열에 여덟은 망하게  되어,  창업자 본인뿐만 아니라 가족 등 많은 사람들의 삶을 더 곤궁하게 만들 수 있다. 영화 기생충에서 보면 주인공 가족이 빈곤층으로 전락하게 된 이유가 유행하는 음식점 창업을 했다가 망했기 때문인 것으로 나온다.

이와 같은 음식점 창업의 큰 투자 위험에서 벗어나고, 작은 자본으로 안전하게 시작할 수 있는 대안이 공유주방이다. 공유주방의 경우 보증금 1천만 원 전후에 월 1~2백만 원의 임대료를 내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시작할 수 있다. 또 시간 단위나 월 단위로 계약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해 보고 적성에 맞지 않거나 잘되지 않으면  쉽게 관둘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존의 음식점이나 카페 창업은 최소 1년 이상의 임대 기간에 1억 가까운 인테리어와 주방시설 투자 비용 때문에 장사가 잘 안되어도 쉽게 관두기가 어려운 구조였다.

공유주방은 1인 가구가 늘고, IT 기반  배달업이 발달하고 있는 전 세계적인 추세와도 잘 맞는 경향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1인 가구 비율이 30%를 넘어서고 있고, 배달의 민족이라고 불릴 만큼 배달업이 잘 발달되어 있다. 최근 급격한 인건비 상승과 도심의 높은 건물 임대료를 고려할 때, 인건비와 건물 임대료 부담이 적은 공유주방이 투자 위험 부담을 최소화하는 자영업 창업의 출발점이 될 수도 있다.

02. 공유주방 창업 사례

전 세계적인 공유주방 확산 추세에 맞추어, 우리나라에서도 위쿡, 공유주방1번가, 고스트키친 등과 같은 많은 공유주방이 새로 생겨나고 있다.

1월에 서울 강남역 인근에 있는 공유주방 업체인 고스트키친을 방문하였다.

지하에 있는 공유주방 입구에서 음식을 주문하고, 음식이 만들어지는 동안 공유주방 내부를 둘러보았다. 27개 정도의 4평 남짓한 개별적인 주방공간으로 분리되어 있었고, 서로 다른 종류의 음식점들이 입점해 있었다.

k2.png

 

고스트키친 안내도

k3.png

 

고스트키친 공유주방

새로운 주방 형태에 대해 흥미를 가지고 지나가면서, 공유주방에 입점해 있는 음식점 주인들에게 공유주방에 대해 궁금한 점들을 몇 가지 물어보았다. 처음 이야기한 입점주는  Asian Table이라고 아시안 푸드를 만드는 음식점 주인이었다. 음식점 창업이 처음이냐고 물어보았더니, 외부에서도 식당을 하는 곳이 있는데 배달 전문으로 공유주방을 추가로 열게 되었다는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공유주방이 요식업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이 배우는 목적으로 주로 시작한다고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미 정식 가게가 있는데 왜 공유주방에 또 오픈했는지가 궁금해 이유를 물어보았다. 외부 식당에서는 인건비 부담이 컸는데, 여기서는 홀을 운영하지 않기 때문에 인건비 부담을 많이 줄일 수 있고, 고객을 홀에서 서비스하는 게 부담이 컸는데  여기서는 배달만 집중할 수 있어 더 편하다는 답변이 돌아왔다.  근처의 딜리셧 부티끄 라고 샐러드를 만드는 주인도 비슷한 이야기를 해 주었다. 기존 다른 곳에 매장 있다가 배달 전문으로 들어왔는데, 다른 음식점들과 같이 있어서 정보 공유에 도움이 된다는 이야기를 해 주었다.

k4.png

 

고스트 키친의 Asian Table

k5.png

 

딜리셧 부티끄의 샐러드

공유주방에 대한 좀 더 전문적인 이야기를 듣기 위해 고스트키친의 김유림 PR Leader와 공유주방에서 주문한 샐러드를  라운지에서 같이 먹으면서 인터뷰를 해 보았다.